책소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생명과학
융합의 중심에서 바이오테크로 비상하다!
인문학과 경제학·건축·수학·의학·과학·통계학·화학의 만남에 이어, 생명과학과 다른 학문과의 만남을 다룬 ‘융합과 통섭의 지식 콘서트’ 시리즈 제8권 『생명과학, 바이오테크로 날개 달다』가 출간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류는 분명 과거와는 다른 삶을 살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생명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좀 더 진지해질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자체는 생태계 흐름을 거스르는 인간의 욕망이 발생시킨 참극이지만, 그것을 수습하고 다시 인류의 삶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지키는 것 역시 인간만이 가진 과학적 무기, 즉 생명과학의 몫이다.
〈융합과 통섭의 지식 콘서트〉 제8권은 시의성 강한 주제로, 현재 우리 모두의 관심사로 떠오른 생명과학을 다룬다. 바이러스란 무엇인지,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어떠한 것인지, 그리고 모든 학문 간 융합의 선두주자로 떠오른 생명과학, 그 생명 현상에 대한 모든 궁금증이 한 편의 드라마처럼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저자소개
저자 : 김응빈
저자 : 김응빈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1996년 미국 럿거스 대학교에서 환경미생물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식품의약국(US FDA)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1998년 연세대학교 생물학과(현 시스템생물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연세대 입학처장과 생명시스템대학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미국 미생물학회(ASM) 학술지 편집위원이자 한국 환경생물학회 부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SCI 논문 60여 편을 발표하고 우수 강의 교수상을 여러 번 수상한 저자는 대중과의 과학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생명과학과 인문학 등 다른 학문과의 접점을 찾는 융합 연구에 관심이 많다. 학부 교양강의 ‘활과 리라: 생물학과 철학의 창조적 접점 찾기’를, 대학원 강의 ‘메타-생물학’을 개설하여 학생들과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K-MOOC에 ‘활과 리라’ 강좌를 개설하고, 그 밖의 다양한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생명과학의 대중화와 융합적 사고 진작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나는 미생물과 산다』 『미생물에게 어울려 사는 법을 배운다』 『미생물이 플라톤을 만났을 때』(공저), 『생명과학 신에게 도전하다』(공저)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며
Chapter 1 바이오 융합, 세계를 이끌다
코로나19, 지구의 미래를 바꾸다 : 감염병 시대 | 바이오 기술, 유전공학으로 날아오르다 : BT-IT-NT | 인간, 다른 생물과 서식지를 공유하다 : 생명과학의 출발 | 마침내 자연발생설을 논파하다 : 생명과학 도약의 발판 | 미아즈마, 나쁜 공기가 감염병의 원인?: 감염병과 역학 | 현대 생명과학, 생명의 본질에 성큼 다가서다 : 바이오 융합 | Tip:무세포 합성생물학, 합성생물학과 IT 기술이 만나다
Chapter 2 생명과학의 역사를 바꾼 별별 순간들
페스트의 역설, ‘뇌’로 관심이 몰리다 : 뇌과학 | 권위에 대한 도전, 피는 사라지지 않고 돈다 : 순환계 | 엉뚱한 생각의 순간, 먹은 건 어디로 가나? : 소화계 | 숨을 쉬어야 살지, 산소와 호흡 : 호흡계 | 동물 해부 논란, 신경학으로 나아가다 : 해부학과 신경생물학 | 꼬리 많은 세포의 발견, 거대 그물망 뉴런의 정체 : 신경계 | Tip:생물연료, 인류를 살리는 친환경 배설물 에너지
Chapter 3 미생물과 인류의 끝없이 치열한 경쟁, 감염병
역사상 가장 오래된 감염병은? : 말라리아 | 유럽 인구 3분의 1을 앗아간 감염병이 있다니! : 페스트 | 친척 세균이라서 다른 듯하면서도 닮았다 : 결핵과 한센병 | 인류가 딱 한 번 유일하게 정복한 감염병이 있으니 : 천연두 | 현대판 페스트로 불리는 후천성면역결핍증의 정체는? : 에이즈 | 코로나19 충격으로 인간 면역계를 다시 보다 : 코로나19와 면역계 | Tip : 페스트의 악몽을 그림으로 재현하다
Chapter 4 생명과학과 물질과학, 그 융합의 발자취
생명체 이해의 키워드, ‘DNA’를 찾다 : 분자생물학 | 그들이 ‘RNA 타이 클럽’에 모인 까닭은? : 유전정보 공개 | 세포들의 알뜰살뜰 슬기로운 경제생활 : 유전자 발현 조절 | 수도사 멘델이 콩나무를 키우다 발견한 것은? : 유전학 | 생명과학, 신의 영역에 성큼 다가서다 : 생명복제 | 생명체의 미래를 설계하다 : 합성생물학 | Tip : 프라임 편집,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한계를 뛰어넘다
Chapter 5 생명과학, 예술적 상상력 속에 꽃피우다
대성당 천장화 〈천지창조〉에 담긴 천재의 진심은? : 해부학적 해석 | 볼세나의 기적은 바로 빨간세균인가? : 세라티아 마르세센스 | 신석정의 「산수도」, 공존의 생태계를 꿈꾸다 : 생태지위 | 〈베토벤 바이러스〉에는 생명과학적 의미가 담겨 있다 : 바이러스 | 단군신화와 무궁화에는 유전의 비밀이 숨어 있다 : 유전원리 | 카메라 옵스큐라와 현미경, 미생물을 직시하다 : 미생물 | Tip : 분홍 갈대가 토종 생태계를 교란시키는가
Chapter 6 영화 속으로 들어간 생명과학
DNA 복제로 공룡을 부활시키다 : 〈쥬라기 공원〉 | 돌연변이로 과연 초능력이 생길까? : 〈뉴 뮤턴트〉 | 코로나19 사태를 예견하다 : 〈컨테이젼〉 | 인간을 좀비로 만드는 미생물이 있을까? : 한국형 좀비 영화 | 화성에서 살아남은 지구인의 생명과학적 생존 비법 : 〈마션〉 | 사람도 광합성을 할 수 있을까? : 〈유리정원〉 | Tip : 인공 엽록체는 ‘21세기 아폴로 프로젝트’
주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