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단독] 옛적 서울 이야기
- 저자
- 배한철 저
- 출판사
- 매일경제신문사
- 출판일
- 2025-05-28
- 등록일
- 2025-07-3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95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조선시대 한양의 부동산도 불패였다고?
핫플레이스 이태원이 원래 공동묘지였다면?
가장 천한 신분이던 무당이 조선을 뒤흔든 사건은?
알면 알수록 흥미진진한 ‘진짜’ 옛적 서울 이야기!
오늘날의 서울은 조선 사람들의 삶이 오랜 시간 축적되어 형성된 도시다. 조선의 수도 한양은 오늘날 서울처럼 정치의 중심지이자, 수많은 이들의 삶이 얽혀있던 거대한 생활공간이었다. '소고기 없으면 잔치가 아니다’라는 말이 유행하던 숙종 시대의 소고기 열풍부터, 인구 과밀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치솟았던 조선판 부동산 불패 현상까지. 또 내시, 무당, 노비, 후궁 등 신분제 속 다양한 인물들의 생생한 삶을 따라가다 보면, 과거 한양의 실체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옛적 서울 이야기』는 기존의 궁궐 중심, 전쟁과 정치 중심의 역사서와 달리, 조선 사람들의 일상과 공간에 주목한다. 도시의 골목, 풍속, 인물에 담긴 이야기를 통해 그 시절 사람들의 생활상을 생생히 되살려냈다. 저자인 배한철은 매일경제에서 문화재 및 한국사 전문 기자와, 국가유산청의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실록, 문집, 풍속화, 지리지 등 다양한 기록을 바탕으로 현장을 직접 취재하고 답사해, 조선 사람들의 한양에서의 삶을 세심하게 복원했다. 오백 년 도시의 흔적을 좇아, 오늘의 서울이 어떤 시간의 축적을 통해 형성되었는지 역사 속으로 함께 따라가 보자.
저자소개
박물관과 유적지를 끊임없이 찾아다니는 문화재 기자. 발품을 팔아 얻은 생생한 체험으로 문화재와 역사에 관한 칼럼을 쓰고 관련 책을 꾸준히 출간했다.
대학에서는 이와 전혀 무관한 경영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고 〈매일경제신문〉에 입사해 정부 부처를 출입하면서 정책 기사를 주로 써왔다. 하지만 학창시절 관심분야였던 문화재와 역사 공부를 꾸준히 이어온 덕분에 2011년부터는 문화재 분야를 취재하며 못다 이룬 역사학도의 꿈을 마음껏 펼치고 있다. 국보에 깃든 고유한 아름다움뿐 아니라 국보가 간직한 이야기에 매료되어 역사서와 고문헌을 깊숙이 탐독하고, 전국 유적지를 구석구석 답사하며 이 책을 썼다.
현재 〈매일경제신문〉과 네이버에 한국사와 고미술, 고전 등을 주제로 다양한 칼럼을 쓴다. 저서로 《한국사 스크랩》(2015년 세종도서 선정) 《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2016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이달의 책 선정, 2017년 세종도서 선정) 《역사, 선비의 서재에 들다》 등 베스트셀러 역사 교양서가 다수 있다.
목차
들어가며
1부 조선의 서울, 한양
1장 낯선 조선, 뜻밖의 서울
소고기 맛에 흠뻑 취하다
술을 숭배하다
조선시대 한양도 부동산 불패
떠들썩했던 한양의 설날
2장 지옥보다 못한 최악의 헬조선
숙종 호시절을 휩쓴 대기근
서소문 밖에 내걸린 범죄자 머리
한양은 호랑이 소굴
3장 혼돈과 격동의 역사
왜군이 점령했던 1592년
반란군 온데도 임금은 유흥에 빠지다
한국판 메이지유신의 3일 천하
정치 변화 따라 바뀌는 정자 주인
4장 발길 닿는 곳마다 명승지
조선 팔도 과거 응시자들의 성지, 한양도성
불우한 양반 거주지에서 외세 각축장, 명동
승과 시험 보려는 스님 벌판, 강남 삼성동
원래는 강북 뚝섬의 일부, 잠실
2부 한양의 사람, 삶의 이야기
5장 조선의 주인, 경화사족
조선의 지배자, 동방갑족 문벌가
천하 호령하던 벌열가문
한양 인구 절반이 노비였다?
조선시대 최고 재상은 척추장애인
6장 같은 듯 서로 다른 인생
조선에서 가장 천한 무당이 국정농단
머리 깎은 후궁들 비구니 되다
거세당한 내시들이 1등 신랑감이었다?
군인인구만 5만 명, 군인 도시 한양
7장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공간
도시의 하수구, 청계천
서울 공식 공동묘지, 마포이태원
배추와 미나리로 명성, 왕십리서대문
산적이 우글대던 고개, 종로중구
8장 오백년 사직 지킨 이데올로기
음악 관장하는 예조 관리들의 놀이터, 육조거리
70?80대 학생들의 공부 성지, 성균관
궁궐?도성 석재의 주요 석산, 삼청동창신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