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우리가 몰랐던 중국 이야기
박종범 저
이북스펍 2014-09-02 YES24
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나라 중국, 우리는 중국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중국에 관한 편견과 진실에 대해 풀어 놓았다. 과연 중국에서 학위를 따면 만사형통일까? 중국 대학생은 정치에 관심이 없다? 중국사람들은 한국을 좋아한다? 조선족은 위험하다 등 이런 다양한 주제를 통해 중국에 대한 편견과 진실을 책에서 말해준다. 중국에 관심이 ...
[인문/사회]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권내현
역사비평사 2014-09-01 교보문고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은 신분제 사회인 조선에서 양반을 꿈꾸었던 한 노비 가계의 2백 년 이력을 기록한 것이다. 김수봉이라는 노비의 가계와 그를 둘러싼 주변 인물
[인문/사회] 집, 인간이 만든 자연
김경은
책보세 2014-09-01 교보문고
3국의 전통가옥문화를 살펴본 《집, 인간이 만든 자연》은 같으면서도 다른 동양 3국 집의 미학과 삶의 철학을 다루고 있다. 우선 3국의 철학적 토대는 기(氣)다. 이 기는 가옥의
[인문/사회] 12억 인도를 만나다
김도영 저
컨텐츠코리아 2014-08-19 YES24
2000년대를 전후해 빠른 경제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브릭스나 친디아의 나라로서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된 시장경쟁의 장이 되어버린 인도. 지금은 그들의 의식세계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인도인은 누구인가? 오늘의 인도를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이제 한국은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작금의 경제 위축에 상관없이 인도와 인도인의 이해에 힘써야 한다...
[인문/사회] 지도로 보는 세계지명의 역사
21세기연구회 저/김미선 역
이다미디어 2014-08-13 YES24
지명은 역사의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이다사람에게 인명이 있다면 땅에는 지명이 있다. 사람의 이름이 한 인간의 아이덴티티와 역사를 담보하고 있다면, 마찬가지로 땅의 이름도 그 지역의 특수성과 역사를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인류 문명의 시발점이 땅이기 때문에 지명 자체가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징이자 기호이다. 지명은 한 번 정해지면 좀처럼 변하지 않는...
미리보기
[인문/사회] 고조선 사라진 역사
성삼제 저
동아일보사 2014-08-06 YES24
지금까지 배운 역사를 의심하라‘명도전은 고대 연나라의 화폐다.’국사 교과서에도 나오는 이 명제는 참일까, 거짓일까. 명도전 출토 지역의 분포가 옛 고조선의 영역과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만주사의 기초를 닦았다는 중국 길림대 역사학과의 장보촨(張博泉) 교수는 어떤 연유로 2004년 중국 학회지에 명도전이 고조선 화폐일 가능성이 높다는 논문...
미리보기
[인문/사회] 단숨에 정리되는 세계사 이야기
정헌경 저
좋은날들 2014-07-23 YES24
서양 역사 5천년이 단숨에 읽히고, 그 오랜 역사의 실타래가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명쾌하게 정리했다. 이 책은 서양 최초의 문명에서부터 고대, 중세, 근현대 역사의 흐름과 그 이면의 이야기를 재미있게 들려주는 한편으로, 서양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난 세계 역사의 실체를 오늘날, 우리의 관점에서 생생하게 되살렸다.서양사의 파란만장한 시대와 사건, 인물을 현장감...
[인문/사회] 대한민국 치킨전
정은정
따비 2014-07-20 교보문고
한국인의 소울푸드, 치킨을 탐구하다! 음식의 계보와 지난 과정에 대한 탐구에 그치지 않고, 음식을 통해 우리를 둘러싼 세계와 사람의 삶을 들여다보는 「따비음식학」 제1권 『대한
[인문/사회] 그러나 이순신이 있었다
김태훈
일상과이상 2014-07-17 교보문고
이 책은 KBS ‘TV 책을 말하다’, 네이버 ‘오늘의 책’, 동아일보 ‘흥미진진한 역사 읽기 30선’, 부산시교육청 선정도서인 《이순신의 두 얼굴》을 10년 만에 새롭게 보완한 것이다. 7년전쟁의 비극적 상황 속에서 이순신이 어떻게 평범한 인물에서 비범한 인물로 나아갈 수 있는가를 다룬 책이다.
미리보기
[인문/사회] 술 한잔에 시 한수, 그곳엔 정자가 있었네
컬툰스토리 저
주식회사 태믹스 2014-06-18 YES24
술 한잔에 시 한수 우리나라 전통 정자를 찾아 떠나는 기행으로 다음과 같이 10개의 테마로 구성되었습니다. 1)청암정 2)한수정 3)초간정 4)함벽정 5)동백정 6)탁사정 7)해암정 8)소양정 9)천학정 10)호해정 등에 대한 최신 사진과 더불어 각 테마에 얽힌 재미있고 유익한 스토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