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나는 나답게 살기로 했다
손힘찬
스튜디오오드리 2021-02-08 교보문고
내가 나일 수 있을 때 삶이 좋은 방향으로 흘러간다 『오늘은 이만 좀 쉴게요』의 저자 손힘찬이 있는 그대로의 자기 모습으로 살아가도록 돕는 『나는 나답게 살기로 했다』로 3년
[인문/사회]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수업
신고은
포레스트북스 2021-01-29 교보문고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듯 우리 마음에도 통풍이 필요합니다” 상처만 가득했던 관계를 치유하는 38가지 심리학 “저 사람은 대체 왜 저렇게 행동할까?” “내 마음을 알다가도 모
[인문/사회] 조금 멀리서 마음의 안부를 묻다
댄 토마술로 저/이현숙 역
밀리언서재 2021-01-25 YES24
긍정심리학 박사이자 희망 훈련 전문가의어제보다 더 행복하고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가는 법마음이 길을 잃지 않도록 희망을 채우는 시간삶은 대개 울퉁불퉁하다. 종종 돌부리에 걸려서 비틀거리고 흙먼지가 날려 앞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넘어진 자리에 주저앉지 않고 계속 나아가는 것은 좋은 것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불안하고 지친 마음을 꾸...
[인문/사회] 사랑 수업
윤홍균
심플라이프 2021-01-25 교보문고
사랑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전하는 위로와 용기! 만남과 이별, 상처 치유까지 ‘자존감 높이는 사랑법!’ 『사랑 수업』. ‘나와 타인을 모두’ 사랑하는 법을 다룸으로써 스펙터클한
[인문/사회] 밀리언 뷰 웹소설 비밀코드
진문
블랙피쉬 2021-01-21 교보문고
‘코드’만 알면 100만 독자가 따라온다! 100일 안에 웹소설 작가로 데뷔하고픈 당신을 위한 밀리언 뷰 메이커 진문의 웹소설 실전 작법서 ㆍ 클래스101 웹소설 분야 최고의
[인문/사회] 스토리텔링 바이블
대니얼 조슈아 루빈 저/이한이 역
블랙피쉬 2021-01-08 YES24
“잘 나가는 이야기에는 남다른 스토리텔링이 있다!”할리우드 경력 25년 작가가 알려주는관계자가 ‘러브콜’을 보내고 독자들이 ‘결제’하는팔리는 스토리의 법칙 27역사상 오늘날처럼 많은 이야기가 소비된 시대는 없다. 휴대전화로 소설을 읽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가입해 오리지널 드라마와 영화를 본다. 태블릿 PC로 침대 위에서 만화를 보고, 게임의 캐릭터와 아이템...
[인문/사회] 건강하게 나이 든다는 것
마르타 자라스카 저/김영선 역
어크로스 2021-01-05 YES24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무엇을 신경 써야 할까? 이 질문에 미국인의 56퍼센트는 운동, 26퍼센트는 올바른 식습관이라고 답했다. 최상의 운동법, 건강 식단, 기적의 영양제까지, 과연 이것이 노화와 질병 없는 행복한 노년을 보장해줄까? 2016년 ‘올해의 과학책’에 선정된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의 저자이자 과학 저널리스트인 마르타 자라스카는 100세까...
[인문/사회] 세계질서의 변화를 읽는 7개의 시선 - 대전환의 시대, 한반도 평화의 길을 묻다
한홍열
메디치미디어 2021-01-04 우리전자책
갈등과 위기의 시대를 넘어 평화의 길로 나아가는 7개의 제안 코로나 이후 전 세계는 급변하고 있다. 강대국들이 노골적으로 자국우선주의를 채택하면서 국제사회는 국가와 국가 간의 투쟁 장소가 되어가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를 움직여온 자유주의 정치경제질서는 더 이상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세계경제의 성장을 이끌어온 세계화 기조도 퇴조의 기미를 보이...
[인문/사회] 포노 사피엔스 학교의 탄생 - 스마트폰 종족을 위한 새로운 학교가 온다
최승복
공명 2020-12-31 우리전자책
구시대 근대학교에 다니는 최첨단 인류? 포노 사피엔스에게 맞는 학교로 전환하라 “스마트폰을 신체의 일부처럼 사용하는 인류(〈한경 경제용어사전〉)”인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 스마트폰을 손에 쥔 그들이 세상을 바꿔가고 있다. 포노 사피엔스는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등장한 새로운 용어다. 역사에 없던 이 새로운 인류는 시공간의 제약...
[인문/사회] 가족이 아닌 家 - 2040년, 미래의 가족을 묻다
김용섭
메디치미디어 2020-12-31 우리전자책
가족이 가족이 아닌 이야기 요즘엔 1인가구가 대세다. 지난해엔 전체 가구의 30를 차지했고, 여기에 2인가구를 합치면 무려 57나 된다. 스웨덴에선 1인 가구 비율이 50가 넘는다. 우리 사회에서 가족의 재구성이 더 빠른 속도로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10년간 우리 정부는 출생 극복 예산으로 약 209조원을 썼고, 연간 20조원을 쓰고도 출산율은 지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