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죽음은 두렵지 않다
- 저자
- 다치바나 다카시
- 출판사
- 청어람미디어
- 출판일
- 2016-11-18
- 등록일
- 2017-10-24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6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지知의 거장 다치바나 다카시가 말하는 ‘나에게 죽음이란 무엇인가’
‘삶이란 무엇이고, 죽음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인간이 평생 탐구하지 않을 수 없는 어려운 문제다. 그에 대한 답은 나이나 경험, 종교에 따라 상당히 또는 미묘하게 달라진다. 이 책은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철학적 물음에 깊이 천착해 온 지(知)의 거장 다치바나 다카시가 방광암과 심장병으로 두 차례의 대수술과 죽음의 고비를 넘기고 일흔다섯 살이 되는 시점에 얻은 ‘나에게 죽음이란 무엇인가, 무엇이었는가’에 대한 답을 정리한 것이다.
그는 이 책에서 그가 만난 관념주의자와 신비주의자들이 말하는 죽음과 이들과는 정반대의 관점에 서서 죽음의 객관적 사실을 증명하고자 하는 현대 뇌과학자들이 죽음과 의식의 관계에 관해 밝혀낸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또한 의료 현장에서 환자의 죽음을 직접 겪게 될 간호대생들에게 전하는 따뜻한 격려와 조언의 말, 그리고 연명치료, 자살, 존엄사, 안락사, 뇌사, 장례문화, 종교와 사생관 같은 문제에 관한 그의 솔직한 의견을 들려준다.
저자소개
저자 : 다치바나 다카시
저자 : 다치바나 다카시
저자 다치바나 다카시立花 隆는 다양한 분야를 깊이 파고드는 취재와 저술 활동으로 ‘지(知)의 거장’이라 불리는 이 시대 최고의 저널리스트이자 평론가.
1940년 나가사키 현 출생. 1964년 도쿄대 불문과 졸업 후 《주간문춘週刊文春》기자로 활동했다. 1966년 총리의 범죄 행위를 파헤친 <다나카 가쿠에이 연구 - 그 금맥과 인맥田中角榮硏究-その金脈と人脈>이 일본 사회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일으켜 그해 연말 총리 사임의 계기가 되었다. 고단샤 논픽션상, 기쿠치 칸상, 마이니치 출판문화상, 시바 료타로상 등을 수상했다. 인문ㆍ사회 외에도 우주, 뇌 등 과학 분야까지 활동 영역을 넓혔으며 방광암 수술 이후 본격적으로 암과 생명, 삶과 죽음의 본질을 파헤치기 시작했다.
주요 저서로는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 『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 『임사체험』, 『암, 생과 사의수수께끼에 도전하다』, 『뇌를 단련하다』, 『21세기 지의 도전』, 『우주로부터의 귀환』 등 다수가 있다.
역자 : 전화윤
역자 전화윤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일과 졸업 후 대기업에서 통번역사로 일했다. 바른번역 글밥아카데미 일어번역과정을 수료하고 저자와 독자의 마음을 이어주는 역자가 되고자 애쓰고 있다.
목차
제1장 죽음은 두렵지 않다
1. 죽음이 두렵던 젊은 날
자살을 생각하다 | 안락사, 어떻게 보아야 하나 | 사후세계는 존재하는가?
2. 지금까지 밝혀진 죽음의 순간
심정지 후에도 뇌는 살아 있다 | 체외이탈의 수수께끼 | 신비체험은 왜 일어나는가? | 삶의 목적은 마음의 평정을 얻는 데 있다
3. 암과 심장 수술을 이겨내고
이상적인 죽음의 순간 | 연명치료는 필요한가? | 생명의 위대한 순환 속으로
특별 에세이 - 나는 밀림의 코끼리처럼 죽고 싶다
제2장 간호대생에게 말하는 삶과 죽음
사람은 죽는 순간 무엇을 생각하나 | 죽음을 앞둔 사람과의 인터뷰 | 고된 간호 현장 | 갈등의 나날 | 번아웃 증후군 | 암 환자 간호의 고충 | 지쿠시 데쓰야 앵커의 죽음 | 남은 시간을 누구에게 먼저, 어떻게 알려야 하나 | 사람은 죽으면 티끌이 되나 | 나치에 학살당한 아이들의 나비 그림 | 육체는 인간 존재의 외피에 지나지 않는다 | 보이지 않는 존재와의 대화 | 임사체험담이 비슷한 이유 | 장기 요양 병동의 현실 | 존엄사, 어떻게 마주해야 하나
제3장 뇌에 관해 밝혀진 놀라운 사실
인류 최대의 수수께끼 | 의식이란 무엇인가? | 뇌과학 최대의 수수께끼 | 뇌는 화학적 기계장치다 | 꿈을 마음대로 꿀 수 있다? | 의식을 수식화할 수 있다? | 기계에 의식이 깃들 수 있는가 | 죽음 이후 의식은 어떻게 되는가 | 동양적 세계관에 가까워지다
맺음말
역자 후기 ‘나의 죽음은 내가 죽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