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말실수가 두려운 사람을 위한 우리말 사용법
- 저자
- 이경우 저
- 출판사
- 유노북스
- 출판일
- 2025-04-01
- 등록일
- 2025-05-15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46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더 이상 말실수로 지적받고 싶지 않다면?헷갈리는 맞춤법부터 상황에 맞는 말까지‘아’ 다르고 ‘어’ 다른 필수 어휘 46자기소개서의 맞춤법을 틀려서 탈락한 적이 있는가?부족한 어휘력 때문에 창피당한 적이 있는가?중요한 순간에 말을 잘못해서 결과가 달라진 적이 있는가?누구나 한 번쯤은 소리 나는 대로 썼을 뿐인데 맞춤법을 틀리거나, 느낌은 알겠는데 알맞은 단어가 생각나지 않거나, 마음 써서 말했는데 오히려 오해를 산 경험이 있다. 이런 사람들을 위해 대한민국 대표 어문 기자이자 『말실수가 두려운 사람을 위한 우리말 사용법』 저자인 이경우가 가장 많이 틀리는 말을 쉽고 친절하게 안내한다.점점 일상의 소통에서 적절한 단어가 생각이 나지 않아 실수하거나 메신저 소통이 늘어나면서 잘못 쓴 말로 지적받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대화하다가 단어를 헷갈려서 창피당한 적 있는 사람이라면, 직장에서 틀린 맞춤법 때문에 평판이 나빠져 본 적 있는 사람이라면 『말실수가 두려운 사람을 위한 우리말 사용법』을 통해 살면서 꼭 알아야 할 우리말 사용법을 익힐 수 있다. 이 책에는 한 끗 차이 때문에 헷갈리는 단어부터, 상황과 상대에 맞춰 적절하게 사용해야 하는 표현들, 차마 지적하기 어려운 맞춤법까지 모두 담겨 있다. ‘맞히다’와 ‘맞추다’를 헷갈린 적이 있는가? 어려웠던 시험을 치른 후의 상황을 떠올려 보자. 친구들과 정답지를 보며 답을 비교해 보는 것은 답을 ‘맞추어’ 보는 것일까, ‘맞혀’ 보는 것일까? 이때는 답을 ‘맞추어’ 보는 것이다. ‘맞히다’는 문제에 대한 답을 옳게 하는 것이고, ‘맞추다’는 제자리에 맞게, 어울리게, 같게 하는 것이다. 덧붙여 ‘맞히다’는 ‘축구공이 골대를 맞혔다’처럼 무엇을 어떤 곳에 닿는 것을 표현할 때도 쓰인다.‘뵈요’와 ‘봬요’를 아직도 잘못 쓰고 있지는 않은가? “내일 뵈요”, “다시 봬면 좋겠습니다”가 익숙하다고 느끼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이 문장들이 바른 말일까? 아니다. “내일 봬요”, “다시 뵈면 좋겠습니다”라고 해야 맞다. ‘뵈요’, ‘봬다’, ‘봽다’는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기억하기 편하다. ‘뵈어’가 줄어 ‘봬’가 되는 것이다. 헷갈린다면 ‘되’와 ‘돼’를 구분할 때처럼 ‘뵈’와 ‘봬’ 자리에 각각 ‘하’와 ‘해’를 넣어 보자. “내일 하요”보다 “내일 해요”가 자연스러우니 “내일 봬요”가 맞다. 『말실수가 두려운 사람을 위한 우리말 사용법』을 읽으면 말실수가 줄어들고 말하는 데 더 자신감이 생길 것이다. 헷갈리는 단어가 사라지고, 상황과 상대에 맞게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고, 맞춤법을 더 이상 틀리지 않을 것이다.
저자소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어문 기자. 원칙에 집착하기보다 현실에 맞게 사용할 때 우리말이 더 풍부해지고, 우리 생각이 다양해지며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는 미디어언어연구소장,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 위원, 국립국어원 외래어 심의 위원,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편집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신문 어문부장, 한국어문기자협회장,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 위원, 국립국어원 말다듬기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서울신문에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단어와 일상에서 사람들이 자주 언급하는 단어를 뽑아 바른 말, 쉬운 말, 차별 없는 말 쓰기를 독려하는 <말빛발견>, <이경우의 언파만파>를 연재했다. 중앙일보에 <우리말 바루기>를 쓰고 있다. 2006년 한국어문상 대상, 2012년 한국아나운서대상 장기범상, 2016년 한국어문상 공로부문상, 2020년 한글학회 국어 운동 공로 표창을 받았다. 2024년에는 한글문화연대가 우리말 사랑꾼으로 선정했다. 우리말을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섬세하고 정확하게 우리말을 이해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경계가 흐릿해서 헷갈리는 말, 작은 차이 때문에 오해가 생기는 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등 오늘날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내용만 담았다.
목차
프롤로그 우리말에 주눅 들지 않아야 말실수가 사라진다1장 누구나 착각하기 쉬운 우리말 차이왜 주책에는 없다가 붙고 안절부절하다와 칠칠하다에는 못하다가 붙게 됐을까?오전 12시와 오후 12시, 밤 12시와 낮 12시, 자정과 정오가 헷갈리나요? 길을 가다가 문에 부딪히면 멍이 들고 시선이 부딪치면 정이 든다 이따가는 시간의 흐름을, 있다가는 장소에 머무름을 의미한다기분을 맞히는 건 쉬워도 그 기분에 맞추는 건 어려운 일이다애를 끊거나 애를 끓이거나 고통스러운 건 똑같다라면은 붇기 전에 후후 불어 먹어야 제맛이다귀를 쓸 때는 들리다, 다리를 쓸 때는 들르다로 써야 정확하다누군가 돋보이면 띄다를, 감정이나 색을 나타낼 때는 띠다를 사용한다산 넘어 산을 오르면 산 너머로 뜨는 해를 볼 수 있다값은 오르는 것이 아니라 올리는 것이다가능한 빨리는 못 하고 최대한 빨리는 할 수 있는 이유나를 포함한다면 아닌을, 나를 빼야 하면 아니라를 써야 한다내가 하는 말이면 데, 남의 말을 전달하면 대가 맞다더하는 말인지 빼는 말인지 헷갈리는, 등2장 상황과 상대에 맞게 써야 하는 우리말 표현사과할 때는 심심한 사과보다 진심이 담긴 사과가 낫다주인공에게는 축하가, 장본인에게는 비판이 필요하다심난한 문제 앞에서는 심란한 마음 때문에 잠도 오지 않는다알아 두면 쓸모 있는 죽음과 관련한 말들당숙과 당숙모, 처남과 매형, 형님과 올케, 어렵지만 친숙한 호칭들불구하고는 그럼에도와, 불고하고는 염치와 어울려 쓰인다획 하나로 뜻이 달라지는 헷갈리는 단어들아메리카노는 나오신 걸까, 나온 걸까?글의 문턱을 높이는 필자, 진심을 더하는 나그녀라는 말 대신 이름을 불러 보면 어떨까?미망인에서 배우자로, 언어는 시대와 사회에 맞춰 변화한다나는 책임지지 않겠다는 말, ~할 예정이다자신감이 없고 신뢰를 떨어뜨리는 말, 같아요쟁이와 장이는 한 끗 차이지만 뜻은 천지 차이다3장 차마 지적하기 어려운 우리말 맞춤법곰곰이 생각해도 번번이 틀리는 말, 이와 히우리말에 뵈요는 없고 뵈어요와 봬요만 있다되와 돼, 생각보다 쉽게 구분할 수 있다몇 년, 몇 달 다음에는 몇 일이 맞을까, 며칠이 맞을까?삶은 문장의 앞에 오든 뒤에 오든 모두 삶이다‘사귀어 볼래’가 아니라 ‘사겨 볼래’라고 하면 안 되는 걸까?아니예요는 없는 말이고, 이에요가 줄어서 예요가 된다치를까, 치룰까? 담글까, 담굴까? 잠글까, 잠굴까?익숙지라는 말보다 익숙치라는 말이 더 익숙하신가요?자랑스런 사람이나 자랑스러운 사람이나 대단한 건 똑같다썬 김치는 있어도 썰은 김치는 없습니다그러지 않아도와 그렇지 않아도를 구별하는 법상태 뒤에는 않는가, 행동 뒤에는 않은가 정말 쉽지 않은가?비즈니스와 비지니스가 헷갈린다면 알아야 할 외래어 표기들쓰는 사람만 편하고 읽는 사람은 불편한 줄임말ICAO, NYT, WSJ 같은 로마자 약칭이 글을 어렵게 만든다주어와 서술어가 손을 잡아야 완전한 문장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