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알고 보면 지금과 비슷한 조선의 속사정
권우현
원고지와 만년필 2013-10-24 우리전자책
노비에서 왕까지, 조선을 이루었던 모든 이들의 삶을 들여다본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조선시대의 진정한 뒷담화! 어느 날 출산휴가에 대해 인터넷 검색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우연히 한 블로그의
[인문/사회] 위기에서 빛이 났던 조선의 명장들
글나눔 편집부
글나눔 2013-10-06 교보문고
사람들과 두루 친교가 두터운 사람을 흔히 마당발이라고 한다. 마당발이라고 하면 마당처럼 발이 넓다는 뜻이고, 즉 요소요소에 인맥이 두터운 사람을 뜻한다. 고대 그리스의 철인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했듯이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인간의 사회성은 사회가 복잡해지면 복잡해질수록 더욱 절실해진다.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영역이 자꾸만 좁아지기 때문이다. 따라...
[인문/사회] 나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 이 마사코입니다
강용자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08-01 교보문고
『나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 이 마사코입니다』는 열여섯 살 때 한·일 정략결혼의 희생자가 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의 회고록이다. 대한제국의 몰락과 함께 열한 살 때 일본에 볼모로 끌려간 영왕(영친왕) 이은의 동반자로 황족에서 평민으로 , 두 조국의 갈등과 대중의 질시 속에 살아온 파란의 삶을 기술한다.
[인문/사회] 조선시대 역사문화여행(부모와 함께 하는)
최정훈
북허브 2013-07-25 교보문고
부모와 함께하는『조선시대 역사문화여행』. 이 책은 최고 권력자인 왕에서부터 짐승만도 못한 취급을 받았던 천민에 이르기까지 조선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담은 책이다. 지배 계층과 피지배 계층의 삶의 궤적을 따라가다 보면 역사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얽힌다.
[인문/사회] 뜻밖의 조선역사
이정근
책으로보는세상 2013-03-11 교보문고
아니 그런 일이, 그 놀라운 뜻밖의 역사! 발로 쓴 역사 에세이 『뜻밖의 조선역사』. 우리 곁에 가까이 있지만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역사 유적에 얽인 이야기를 고증된 문헌을 바탕으로 간명하게 풀어낸다. 조선시대 역사 중, 서울·경기 일원에 소재한 역사 유적을 주로 답사하였다. 사랑의 역사, 정치의 역사, 뜻밖의 역사의 3부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각 꼭지...
[인문/사회] 조선 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김종성
위즈덤하우스_디지털콘텐츠 2013-03-04 교보문고
사료 밖으로 나온 노비, 조선을 말하다! 열여덟 개의 키워드로 읽는 조선 노비와 노비제도 『조선 노비들, 천하지만 특별한』. 조선시대 노비 열여덟 명의 삶을 소개하고, 각각의 노비와 관련된 개별 쟁점인 노비의 개념, 기원, 결혼, 직업, 사회적 지위, 재산 등의 모습을 이야기한다. 사료 속 인물들을 사료 밖으로 끄집어냄으로써 그동안 사극이나 문학 작품 ...
[인문/사회] 조선의 정체성(경복궁에서 세종과 함께 찾는)
박석희
미다스북스 2013-01-25 교보문고
경복궁에 담긴 조선의 정체성! 『경복궁에서 세종과 함께 찾는 조선의 정체성』은 경복궁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세종대왕의 하루하루를 통해 조선의 정체성과 역사를 재구성해내는 역사 스토리텔링서이자 궁궐안내서이다. 저자들은 경복궁의 진정한 주인은 세종대왕이라고 말한다. 또한, 주인의 시선으로 걸어보아야 그 진면목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세종의 시선으로’ ...
[인문/사회] 소설로 보는 조선 성풍속사
이윤섭
이북스펍 2013-01-13 교보문고
일반인이 아는 조선의 성 풍속은 근엄함 그 자체이다. 성리학적 사회 질서에서 성은 남성 우위의 입장에서 엄격하게 통제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본래 한민족의 성 풍속은 자연스러운 인간미를 긍정했지 억지로 규범의 틀에 묶인 것이 아니었다.『삼국지』「동이전 고구려조」의 “그 백성들은 노래와 춤을 좋아하여, 나라 안의 촌락마다 밤이 되면 남녀가 떼를 지어 모여 노래...
[인문/사회] 고구려와 삼국지
이윤섭
이북스펍 2012-12-04 교보문고
고구려는 한국인에게는 너무도 유명하고 자랑스러운 존재이지만 의외로 잘 모르는 나라이기도 하다. 이는 그간의 연구 성과가 대중에 잘 알려지지 않은 탓이 크다. 대한민국 건국 이후 근대 역사학 방법을 본격 도입하여 한국 고대사 연구도 장족의 발전을 해 왔다. 이에 따라 고구려 역사도 이전보다 훨씬 더 상세하고 바르게 알게 되었으나 전문 연구의 성과를 국민 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