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왜 당신은 동물이 아닌 인간과 연애를 하는가
김성한
연암서가 2014-11-20 교보문고
진화심리학으로 보는 남녀의 성 심리와 연애! 진화심리학자들은 진화론적인 측면에서 따져 보았을 때, 남녀 내지 암수 사이에는 전형적인 생래적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외형뿐
[인문/사회] 미움받을 용기
기시미 이치로
인플루엔셜 2014-11-17 교보문고
심리학 제3의 거장 ‘아들러’, 용기의 심리학을 이야기하다! 어릴 때부터 성격이 어두워 사람들과 쉽게 친해지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언제까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때문에 전전긍
[인문/사회] 왜 자본은 일하는 자보다 더 많이 버는가
류이근 (기획 인터뷰 정리)
시대의창 2014-11-15 교보문고
한국 경제학자 9명의 시선으로 바라본 피케티의 ‘불평등’ 『왜 자본은 일하는 자보다 더 많이 버는가』는 ‘21세기 자본’이라는 피케티 교수의 책의 ‘소득불평등’이 우리 시대의
[인문/사회] 헝거 게임으로 철학하기
조지 A. 던
한문화 2014-11-10 교보문고
가상의 세계에서 진리를 사유하라! 수잔 콜린스의 판타지 소설 《헝거 게임》은 캣니스 에버딘이라는 소녀가 자신을 둘러싼 거짓을 벗겨내고, 그 기만적인 얼굴 뒤의 진실을 발견하는
[인문/사회] 세렌디피티로서의 제주문화
김덕삼,최원혁 저
나여기지금 2014-11-07 YES24
1,000만 제주 관광객 시대가 2013년부터 열렸다. 이런 추세라면 연간 1억명도 하기 나름이다. 최근 제주도 땅을 수많은 외국인들이 사들이고 있다고 한다. 조만간 제주도는 발 디딜 틈이 없을 것이라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한류처럼 제주도는 소리 소문 없이 우뚝 우리 앞에 다가섰다. 육지가 제조업에 바쁠 때 제주는 서비스업으로 한국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
[인문/사회]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 - 인문학자 8인의 절망을 이기는 인문학 명강의 : 수림문화총서
강신주
메디치미디어 2014-11-06 우리전자책
◆ 이 책은… 이 시대 최고 인문학자들이 무기력한 내 인생에 선사하는 ‘분노’의 인문학! 이 사회는 산업구조조정 때문에 청년 실업률이 치솟았다. 이 사회는 중류 계층이 붕괴하면서 경제·사회 양극화가 심화되었다. 이 사회는 사회 부조리가 극에 달했다. 이 사회는 경제 침체에 빠져들었다. 이 사회는 민주주의가 후퇴하기 시작했다. 여기서 말하는 ‘이 ...
[인문/사회]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은유들
김세은 외저/한국언론학회 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11-06 YES24
놓여 있던 미디어는 들고 다니는 것에서 몸에 지니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정보와 메시지는 순식간에 확산된다. 소통은 빨라졌지만 정보 격차는 커지고 갈등은 깊어졌다. 소통의 실종이다. 도대체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한국언론학회 40대 집행부가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을 창의적으로 사유하고자 한 다양한 연구 전통을 여러 ‘은유’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이 은유들에...
[인문/사회] 감옥에서 만난 자유, 셰익스피어
로라 베이츠 저
덴스토리(DENSTORY) 2014-11-03 YES24
『감옥에서 만난 자유, 셰익스피어』는 10대에 살인죄로 기소되어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 받고 10년 가까이 독방에 홀로 갇혀 지낸 무기수 래리 뉴턴과 그런 그에게 10년 동안 셰익스피어를 가르쳐 온 영문학 교수 로라 베이츠의 실제 셰익스피어 수업에 대한 기록이다. 학력이라고는 초등학교 5학년 중퇴가 전부인 래리는 저자 로라 베이츠를 만날 때까지만 해...
[인문/사회] 내가 나를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린다 그레이엄
불광출판사 2014-10-30 교보문고
시련을 딛고 다시 일어서는 방법을 찾는 사람들은 주목하라! 일상에서 겪는 크고 작은 스트레스는 물론, 순식간에 삶을 마비시키는 재앙은 우리 삶 도처에 널려 있다. 이처럼 일상의
[인문/사회]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이혜정 저
다산에듀 2014-10-24 YES24
한국의 교육에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는 도발적인 연구 프로젝트!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의 교육 시스템에 우려의 시선을 보내며 교육 개혁을 논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논의들은 초중고 교육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학 안에서의 교육과 공부 그 자체에 대한 본격적인 문제 제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대학들의 정점이자 우리나라 모든 교육의 정점에 있...